도커(Docker), 도커 컴포즈(Docker Compose), 도커 스웜(Docker Swarm), 그리고 쿠버네티스(Kubernetes)는 모두 컨테이너 기술을 관리하기 위한 도구들이지만, 각기 다른 역할과 기능을 가지고 있습니다. 이들은 주로 애플리케이션의 컨테이너화 및 오케스트레이션과 관련이 있습니다. 각 도구의 차이점과 그에 따른 사용 목적을 살펴보겠습니다.

1. 도커 (Docker)
역할: 개별 컨테이너를 관리하는 기본 도구.

사용 목적: 도커는 컨테이너를 만들고, 배포하고, 관리하는 데 사용하는 기본 도구입니다. 개발자와 운영자가 동일한 환경에서 애플리케이션을 실행할 수 있도록 하는 표준화된 컨테이너 환경을 제공합니다.

주요 특징:

애플리케이션을 격리된 컨테이너로 패키징.
애플리케이션의 종속성을 해결하고, 일관된 개발 및 운영 환경 제공.
개별 컨테이너 관리에 초점.
쉽게 컨테이너를 만들고 실행, 멈추거나 삭제할 수 있음.
사용 사례: 개발 환경에서 애플리케이션을 컨테이너로 묶어 배포하거나 테스트할 때.

2. 도커 컴포즈 (Docker Compose)
역할: 다중 컨테이너 애플리케이션의 설정 및 관리를 위한 도구.
사용 목적: 하나의 애플리케이션이 여러 개의 컨테이너로 이루어져 있을 때, 이를 정의하고 쉽게 실행할 수 있도록 돕는 도구입니다. 여러 컨테이너의 관계와 네트워크 구성을 간단한 **YAML 파일**을 통해 정의할 수 있습니다.
주요 특징:
YAML 파일을 사용하여 여러 컨테이너를 정의 및 실행.
컨테이너 간의 네트워크 및 볼륨 공유 설정 가능.
애플리케이션을 로컬 개발 환경에서 실행할 때 유용.
docker-compose.yml 파일에서 애플리케이션의 전체 스택(웹 서버, 데이터베이스, 캐시 등)을 정의.
사용 사례: 로컬 개발 환경에서 웹 애플리케이션과 데이터베이스 등 여러 서비스를 동시에 쉽게 실행할 때. 예를 들어, 웹 애플리케이션과 데이터베이스를 한 번에 실행하는 다중 컨테이너 환경.


3. 도커 스웜 (Docker Swarm)
역할: 도커 컨테이너의 클러스터 오케스트레이션 도구.
사용 목적: 여러 대의 서버에서 도커 컨테이너를 클러스터링하고, 자동으로 스케일링 및 배포할 수 있도록 돕는 도구입니다. 도커에서 제공하는 네이티브 컨테이너 오케스트레이션 기능입니다.
주요 특징:
내장된 클러스터링과 오케스트레이션 기능을 제공.
여러 호스트에 걸쳐 컨테이너를 클러스터링하고 관리.
도커 API와 완전히 호환되며, 별도의 추가 학습 필요 없음.
스케일링 및 자원 분배를 간편하게 할 수 있음.
컨테이너를 자동으로 관리하고 부하 분산 제공.
사용 사례: 도커 컨테이너의 오케스트레이션이 필요하지만, 간단한 설정으로 클러스터링과 스케일링을 제공하고자 할 때. 복잡하지 않고 도커의 기본 기능을 사용한 클러스터 관리가 필요한 경우.


4. 쿠버네티스 (Kubernetes)
역할: 컨테이너 오케스트레이션을 위한 확장성 높은 플랫폼.

사용 목적: 대규모 애플리케이션의 자동화된 배포, 스케일링, 관리를 위한 강력한 컨테이너 오케스트레이션 도구입니다. Google에서 개발되었으며, 현재는 클라우드 네이티브 컴퓨팅 재단(CNCF)에서 관리하고 있습니다.

주요 특징:

매우 확장성이 높고, 복잡한 애플리케이션의 자동화된 배포와 관리를 지원.
자체 복구 기능(셀프-힐링), 자동 확장, 지속적 배포(CI/CD) 등 고급 기능 제공.
다양한 스토리지 옵션, 네트워크 정책, 롤링 업데이트 등을 지원.
복잡한 애플리케이션을 운영 환경에서 안정적으로 실행하는 데 필요한 모든 기능 제공.
여러 클러스터 간의 작업 조정을 지원하고, 클라우드 네이티브 애플리케이션을 위한 최적의 플랫폼.
사용 사례: 대규모 애플리케이션을 클러스터에서 안정적으로 관리하고, 지속적 확장 및 운영 자동화가 필요한 경우. 클라우드 인프라를 활용한 대규모 컨테이너 기반 애플리케이션의 운영.


'Kubernetes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 vs VM 차이점  (0) 2024.09.25

1. 구조 차이

  • 가상 머신 (VM)
    • 하이퍼바이저 위에 **게스트 운영체제(Guest OS)**를 설치하여 독립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.
    • 각 VM은 자신의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으며,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화하여 사용합니다.
    • VM 내부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운영체제와 완전히 분리된 독립적인 환경에서 동작합니다.
  • 도커 (Docker)
    • 도커는 컨테이너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. 컨테이너는 호스트 운영체제의 커널을 공유하며 그 위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바이너리만을 격리합니다.
    • 컨테이너는 자체 운영체제를 포함하지 않고,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합니다.
    • VM과 달리, 도커는 게스트 운영체제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 가볍고 빠릅니다.

2. 자원 사용

  • 가상 머신 (VM)
    • 각 VM은 독립적인 운영체제를 실행하므로 많은 시스템 자원이 필요합니다. 운영체제 자체에 필요한 CPU, 메모리, 디스크 공간 등을 사용합니다.
    • 하이퍼바이저가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화하여 각 VM에 할당하기 때문에 자원 사용의 오버헤드가 있습니다.
  • 도커 (Docker)
    • 도커는 운영체제를 가상화하는 대신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라이브러리와 종속성만 격리하기 때문에 자원 사용이 매우 효율적입니다.
    • 동일한 호스트의 커널을 공유하므로, CPU 및 메모리 등의 시스템 자원을 훨씬 적게 사용합니다.

3. 성능

  • 가상 머신 (VM)
    • 각 VM이 독립적인 운영체제를 실행하므로 성능에 오버헤드가 발생합니다.
    • 특히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므로, 가상화 계층에서 성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도커 (Docker)
    • 컨테이너는 호스트 커널을 직접 사용하고,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가상화 계층이 없으므로 VM에 비해 오버헤드가 훨씬 적고 성능이 더 좋습니다.
    • 가벼운 프로세스처럼 동작하므로 빠르게 시작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.

4. 속도 및 부팅 시간

  • 가상 머신 (VM)
    • 가상 머신은 부팅 시 운영체제를 로드해야 하므로 부팅 속도가 느립니다.
    • VM을 시작하는 데 몇 초에서 몇 분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.
  • 도커 (Docker)
    • 도커 컨테이너는 운영체제를 로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의 즉시 시작됩니다.
    • 컨테이너는 밀리초 단위로 빠르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.

5. 이미지 크기

  • 가상 머신 (VM)
    • 각 VM은 독립적인 운영체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VM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큽니다. 몇 기가바이트(GB)에 달할 수 있습니다.
  • 도커 (Docker)
    • 도커 컨테이너는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및 라이브러리만 포함하고 운영체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, 이미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습니다. 몇 메가바이트(MB)에서 수백 메가바이트 정도입니다.

6. 이식성 및 배포

  • 가상 머신 (VM)
    • VM 이미지를 이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, 크기가 크고 VM을 배포하려면 전체 운영체제를 이식해야 하므로 배포 속도가 느리고 복잡할 수 있습니다.
  • 도커 (Docker)
    • 도커 컨테이너는 이미지 크기가 작고 실행 환경이 표준화되어 있어 매우 이식성이 뛰어납니다. 개발 환경, 테스트 환경, 운영 환경 간에 동일한 이미지를 빠르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.

7. 보안

  • 가상 머신 (VM)
    • VM은 각자 독립된 운영체제를 실행하므로, 보안 측면에서 격리 수준이 높습니다. VM 간의 침입이 거의 불가능합니다.
  • 도커 (Docker)
    • 도커 컨테이너는 호스트 운영체제의 커널을 공유하기 때문에, 커널 수준에서의 보안 취약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. 즉, 호스트 커널에 대한 취약점이 있으면 모든 컨테이너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8. 사용 사례

  • 가상 머신 (VM)
    •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할 때(예: 윈도우와 리눅스 환경이 필요한 경우).
    • 높은 보안 격리가 필요한 경우.
    •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VM을 통해 다양한 환경을 구축할 때.
  • 도커 (Docker)
    • 경량화된 애플리케이션 배포가 필요할 때.
    • 개발, 테스트, 프로덕션 환경 간에 일관성이 중요한 경우.
    • CI/CD 파이프라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배포하고 실행해야 할 때.

요약:

  • 도커는 빠르고 경량화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설계된 반면, VM은 더 무겁고 강력한 격리와 다양한 운영체제를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.
  • VM은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하고 성능 오버헤드가 있지만, 높은 보안 격리와 운영체제 수준에서의 독립성을 제공합니다.
  • 도커는 효율적인 자원 사용과 빠른 시작 시간으로,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에 유리하지만, 커널 공유로 인해 보안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+ Recent posts